카테고리 없음

냉장탑차

아름아리1-4 2025. 8. 29. 21:22
반응형

냉장탑차는 화물칸에 냉각 장치 및 단열재를 설치하여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든 폐쇄형 트럭으로, 신선식품‧의약품 등 온도 관리가 필요한 물품을 운송할 때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 및 구조

  • 화물칸 완전 밀폐: 외부 기상 영향을 억제하여 화물 품질을 안전하게 보존.
  • 냉각장치 구분: 엔진식(독립 냉각엔진 또는 차량 엔진동력 활용), 전기식(차량발전기→냉각기).
  • 단열재 적용: 벽체, 바닥, 천장 등에 단열처리해 외기 온도 영향을 최소화.
  • 온도 조절: 탑 내부 온도조절장치를 통해 -5°C 이하 온도 설정(모델별 상이).
  • 적재량: 일반적으로 1톤 트럭 기준 최대 1,000kg 내외.
  • 문 구조: 측면에 별도 문(슬라이딩도어 등) 장착한 모델은 화물 상/하차 동선 편리.
  • 가변 냉각기능: 화물 적재량에 따라 냉각 면적을 가변적으로 제어해 에너지 절감.
냉장탑차냉장탑차냉장탑차
냉장탑차

냉장탑차 활용 분야

  • 신선식품 및 냉장‧냉동식품 운송
  • 의약품, 바이오 등 온도 민감 화물 운송
  • 출장 뷔페, 캠핑카 등 특수 목적 변형

냉장/냉동 겸용으로 앞쪽은 냉동, 뒤쪽은 냉장 등 칸막이 분할된 모델도 존재합니다.

구매 시 고려점

  • 적재공간 크기, 단열두께, 냉각방식, 온도조절범위, 쓰임새에 따라 모델 선택
  • 현대 포터2, 기아 봉고Ⅲ 등 대표적인 1톤 냉장탑차 기본가 2,600만~2,900만 원대(2023년 기준).
  • 사후정비성, 슬라이딩 도어/리어스텝/후방경보 등 특장품목 여부 확인 필요.

냉장탑차와 냉동탑차의 핵심 기능 차이점은 무엇인가

 
냉장탑차냉장탑차냉장탑차
냉장탑차
 

냉장탑차와 냉동탑차의 핵심 기능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온도 유지 범위
  • 냉장탑차는 보통 영상 1~5도 사이, 즉 냉장 상태를 유지하는 데 적합합니다.
  • 냉동탑차는 영하 18도 이하까지 저온을 유지할 수 있어 냉동식품이나 완전 냉동 보관이 필요한 화물 운송에 사용됩니다.
  1. 단열 및 구조
  • 냉장탑차는 냉장에 적합한 중간 두께 단열재가 사용되어 가볍고 경량 설계가 가능하며, 냉장 목적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냉동탑차는 고밀도 폴리우레탄폼과 알루미늄 샌드위치 패널 등 고강도 단열재를 두껍게 사용해 뛰어난 단열성과 밀폐성을 갖고 있어 장시간 영하 온도 유지가 가능합니다.
  1. 냉각장치
  • 냉장탑차는 비교적 낮은 냉각 출력을 가진 냉장용 냉각기가 장착되어 냉장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냉동탑차는 강력한 냉동용 냉각기가 장착되어 화물을 완전히 얼리는 냉동 환경을 만듭니다.
  1. 용도 차이
  • 냉장탑차는 신선식품, 유제품, 과일 등 냉장이 필요한 품목 운송에 적합합니다.
  • 냉동탑차는 육류, 해산물, 아이스크림 등 완전 냉동 상태가 필요한 화물 운송에 적합합니다.
  1. 비용 및 무게
  • 냉장탑차는 냉동탑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량이며 가격과 유지비가 저렴합니다.
  • 냉동탑차는 단열과 냉동장치 때문에 무겁고 비용 부담이 크며 유지비가 높습니다.

요약하면, 냉장탑차는 중간 온도(냉장) 유지용으로 경량성과 경제성을 갖추었고, 냉동탑차는 저온(냉동) 유지용으로 단열과 밀폐가 뛰어나며 강력한 냉동 기능을 갖춘 차량입니다.

 

봉고Ⅲ 냉장탑차의 온도 설정 범위와 실사용성은 어떠한가

 

 

 
 
 

기아 봉고Ⅲ 냉장탑차의 온도 설정 범위는 최저 -5℃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냉장 상태에 적합한 온도입니다. 냉장탑차용 증발기가 효율적인 냉장 성능을 제공하며, 운전석 오디오 하단부에 위치한 조작부를 통해 쉽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실사용성도 편리합니다.

또한, 요철 형태의 SUS304 재질 화물실 바닥은 강도와 내부식성이 뛰어나 내구성이 좋고, 후진 시 후방 주차 보조 시스템과 연동되는 후방 카메라가 장착되어 안전 운행에도 도움을 줍니다. 최대 적재량은 1,000kg 수준입니다.

요약하면, 봉고Ⅲ 냉장탑차는 최저 -5℃까지 온도 설정이 가능해 신선식품 등 저온 운송에 적합하며,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 기능도 잘 갖춰진 실용적인 냉장탑차입니다.

 

냉장탑차의 전기식 냉각기와 엔진식 냉각기 장단점 비교

 

냉장탑차의 전기식 냉각기와 엔진식 냉각기는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전기식 냉각기

  • 장점
    • 구조가 간단하고 차량 엔진 출력 손실이 적음.
    • 엔진 시동이 꺼져도 냉각기능 유지 가능(특히 무시동 전기냉동탑차 형태는 배터리 이용).
    • 친환경적이며 연비 개선과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
  • 단점
    • 알터네이터에서 전기를 끌어 쓰기 때문에 출력 손실은 존재.
    • 보조 전력 공급장치 및 압축기 구동 모터의 무게와 공간 점유로 소형차에는 부적합.
    • 초기 비용과 설비가 상대적으로 더 비쌀 수 있음.

엔진식 냉각기

  • 장점
    • 독립적인 냉각 엔진이 탑재된 경우 출력 확보가 좋고 차량 시동 꺼져도 냉각 가능.
    • 에어컨 방식(차량 엔진과 동력 공유) 시 무거운 독립 엔진 제거로 무게와 연비 우수.
  • 단점
    • 독립 냉각 엔진이 장착되면 연료 소비 증가와 차량 무게 증가.
    • 차량 엔진과 동력 공유 시 정비성 떨어지고 엔진 출력 손실 발생.
    • 엔진 RPM 변화에 따라 냉각 성능 변화가 심하고 연료 효율 저하 문제 존재.

요약하면, 전기식은 친환경·연비 개선과 구조 단순화가 강점이나 소형차 적용이 어려우며, 엔진식은 출력 확보와 냉각 지속성은 높지만 연료 소모와 엔진 부담이 단점입니다.

 

스피드플로어 설치로 냉기 손실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냉장탑차냉장탑차냉장탑차
냉장탑차

스피드플로어 설치 시 냉장/냉동탑차의 냉기 손실이 크게 줄어듭니다. 구체적으로, 스피드플로어는 상하차 시간을 단축시켜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변형 냉탑차의 경우 화물이 실린 만큼만 냉각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연비를 증가시키며,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려줍니다. 냉각 속도가 빨라지고 냉기 손실이 적어, 냉각제품의 품질관리가 용이해집니다.

또한 스피드플로어는 차량 내장 배터리를 이용해 작동하며 전력 소모가 적어 주행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 중 사고 예방에도 기여합니다.

1톤 냉장탑차의 실제 적재중량과 주행연비 영향

 

1톤 냉장탑차의 실제 적재중량은 대략 1톤 내외이며, 적재함 크기는 길이 약 2.7m, 폭 1.6m, 높이 1.5~1.8m 정도로, 파렛트 2개 정도 적재 가능할 정도입니다. 냉장냉동탑차는 적재함에 단열재와 냉각기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탑차보다 중량이 더 나갈 수 있습니다.

주행연비에 미치는 영향은 냉각장치 작동, 적재중량, 차량 상태 및 주행 환경에 따라 차이가 크지만, 1톤 냉장탑차 또는 냉동탑차는 일반적으로 연비가 리터당 약 3~6km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냉동기 가동 시에는 연비가 추가로 감소할 수 있으며, 냉각 작동으로 인해 엔진 부하와 공회전 시간이 증가하여 연료 소비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 사용 시에는 적재 중량과 냉각기 사용 시간에 따라 연비가 변동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1톤 냉장탑차는 적재중량 약 1톤 내외이며, 냉각기 작동과 적재 중량 때문에 연비는 일반 화물차보다 낮아져 리터당 3~6km 정도의 주행거리를 보입니다.

 
 
 
 
반응형